유데미로 안젤라유님의 풀스택 강의를 듣고 있다.
이제 어느 덧 RESTful API까지 다 들어서 이제
Web design, Authentication security, React 이렇게 3개의 강의를 남겨 놓고 있다.
강의도 거의 끝나가기에 이 다음에 뭘 하지?
어느 분야를 더 파야할까 라는 고민을 했다.
그래서 결정한 것은 프론트엔드쪽을 파는 것이었다.
첫 번째 이유는
내가 앞으로 개인적으로 IOS 앱을 만들어보고 싶은데
이게 프론트엔드를 하면 도움이 된다고 들었다.
두 번째 이유는
지금 현 상황에 프론트 엔드 쪽이
취업에 더 가까이 있는 것 같아서다.
누군가에게는 당연해 보일 수 있겠지만
난 이제야 깨닫게 되었다.
지금하고 있는 풀스택 코드도
프론트 엔드가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사항이고
백엔드 부분으로는 Node.js express 등등을 배웠지만
이 node.js 만으로 엄청난 경력자가 아닌 이상 잡을 구하기 어려울 거같다.
node.js를 구하는 곳은 다들 react를 기본으로 하는 풀스택을 뽑는 것같다.
다행히 이 강의엔 리액트가 8시간 짜리가 있어서
리액트에 대해 맛을 볼 수 있을 거 같다.
이 강의를 공부한 후 프론트엔드로 길을 정하면 도움이 될 것같다.
백엔드로 가려면 새로운 강의로 다시 시작해야하지 않을까?
자바나 닷넷 등을 배우며
한 언어를 깊게 파는 강의를 해야할 것같다.
어려운 조건에서도 해내는 사람이 있어서 단정하기는 어렵긴 하지만
무경력에 비전공인데 취업도 쉽진 않을 거같고..
그리고 당장 프론트 엔드도 잘 모르고,
백엔드도 잘 모르는데
프론트엔드 쪽이 더 재밌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생각을 해본다.
지금은 그 놈의 리액트가 너무 궁금하고,
자바스크립트도 조금 밖에 몰라서
더 깊이 알고 싶다.
이 코스가 다 끝나면
1. 리액트만 다룬 강의(약 50시간)를 들은 후
2. 자바스크립트만 다룬 강의(약 50시간)를 들은 후
3. 에어비엔비 등 클론 코딩을 진행하고
4.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
5. 인터뷰 준비를 하는 것이 어떨까?
이렇게 하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릴려나?
아 또 알고리즘 준비는 어떻게 해야하지?..
갈 길이 멀다.
'개발자 이야기 > 요즘 뭐하니? & 캐나다 대학 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액트 복습하니 재밌어졌다. (0) | 2022.03.19 |
---|---|
leetcode로 알고리즘 풀이 처음 시도 (0) | 2022.01.29 |
Node.js부터 데이터베이스까지 복습 끝. 이제 REST API 시작했지만.. (0) | 2022.01.18 |
To Do List 앱을 몽고디비와 헤로쿠에 올리는 것까지 해보았다. (0) | 2021.12.03 |
11/9 간단 블로그 만들기 끝 | 개발 독학 중인 일상 (0) | 2021.11.06 |
댓글